


구분 | 초 | 중 | 고 | 특수 |
---|---|---|---|---|
TOP1 | 인플루엔자 | 코로나19 | 코로나19 | 코로나19 |
TOP2 | 코로나19 | 인플루엔자 | 인플루엔자 | - |
TOP3 | 수족구병 | - | - | - |
1) 연령대별 주요 법정감염병 발생 현황
- 2023년 9월1일부터 30일까지 전국 감염병 발생 현황을 보면 전체 5,859명(인구 10만명당 10.9명)으로 8월 7,047명(13.1)에 비해 감소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18세 이하에서 인구 10만명 당 21.9명으로, 19세 이상 성인 인구 10만명 당 9.1명에 비해 발생률이 높았다. 18세 이하 연령그룹을 나누어 보면 4-6세(유치원생)가 인구 10만명 당 33.0명으로 감염병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7-12세(초등학생)에서 30.6명, 0-3세에서 21.8명, 13-15세(중학생)에서 9.7명 순으로 나타났다.
- 18세 이하의 주요 감염병 발생분포는 수두(70%), 유행성이하선염(22%), 성홍열(3%), 기타(5%)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감염병은 그래프 참조)
- 18세 이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감염병은 수두로, 7-12세(초등학생)에서 인구 10만명 당 22.0명, 4-6세(유치원)에서 20.6명, 0-3세에서 14.2명, 13-15세(중학생)에서 7.6명 순으로 발생하였으며, 19세 이상 성인(인구 10만명 당 0.5명)에 비해 18세 이하(15.3명)에서 발생률이 월등히 높았다.
(단위: 명, 명/10만명당)
구분 | 0~18세 | 19세 이상 | 계 | ||||||
---|---|---|---|---|---|---|---|---|---|
0~3세 | 4~6세 | 7~12세 | 13~15세 | 16~18세 | 소계 | ||||
수두 | 발생수 | 150 | 216 | 594 | 104 | 81 | 1,145 | 221 | 1,366 |
발생률 | 14.2 | 20.6 | 22.0 | 7.6 | 6.1 | 15.3 | 0.5 | 2.5 | |
유행성이하선염 | 발생수 | 39 | 104 | 195 | 16 | 9 | 363 | 84 | 447 |
발생률 | 3.7 | 9.9 | 7.2 | 1.2 | 0.7 | 4.9 | 0.2 | 0.8 | |
성홍열 | 발생수 | 15 | 19 | 16 | 3 | 0 | 53 | 4 | 57 |
발생률 | 1.4 | 1.8 | 0.6 | 0.2 | 0.0 | 0.7 | 0.0 | 0.1 | |
기타* | 발생수 | 26 | 6 | 21 | 9 | 13 | 75 | 3,914 | 3,989 |
발생률 | 2.5 | 0.6 | 0.8 | 0.7 | 1.0 | 1.0 | 8.4 | 7.4 | |
계 | 발생수 | 230 | 345 | 826 | 132 | 103 | 1,636 | 4,223 | 5,859 |
발생률 | 21.8 | 33.0 | 30.6 | 9.7 | 7.8 | 21.9 | 9.1 | 10.9 |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증(CRE) 감염증, 파라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백일해 등이 포함됨.
(출처: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코로나19, 엠폭스 제외), 집계기간: 2023. 9. 1. ~ 9. 30.)




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발생 현황 (출처: 질병관리청)
- 제3급 법정감염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은 참진드기가 주요 매개체인 감염병이다. 농작업과 임산물 채취, 등산 등 야외활동 증가로 인하여 진드기 노출 기회가 많아지는 4월~11월에 주로 발생하며, 치명률이 높고,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특히 주의해야 하는 감염병이다.
- SFTS는 국내 첫 환자가 보고된 2013년 이후 2022년까지 총 1,697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317명이 사망하여 18.7%의 치명률을 보였다.
- SFTS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안전하게 옷을 갖춰 입고, 야외 활동 후 2주 이내 고열(38℃ 이상), 소화기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2023. 10. 7.(40주차) 기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는 총 134명이며, 사망자는 27명 발생함(치명률 20.1%)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전년 동기간 대비(누계) | |||
---|---|---|---|---|---|---|---|---|
202240주 | 2023.40주 | 전년대비 | ||||||
발생 | 환자 수(명) | 223 | 243 | 172 | 193 | 147 | 134 | △13 |
사망 | 사망자 수(명) | 41 | 37 | 26 | 40 | 26 | 27 | +1 |
치명률(%) | 18.4 | 15.2 | 15.1 | 20.7 | 17.7 | 20.1 | +2.4%p |

2023년 추정감염 위험요인 발생현황(중복포함)
대상: 2023년 40주차까지 신고된 환자 134명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128명
추정 감염 위험요인 145건(중복건수 포함) 중 텃밭작업 50건(34.5%), 일회성 야외활동 30건(20.7%), 농작업 23건(15.9%), 임산물 채취 13건(9.0%), 기타 6건(4.1%), 산림 및 임업 5건(3.4%), 축산업 4건(2.8%), 제초작업 3건(2.1%), 감염경로 불명 11건(7.6%) 순이었음

진드기 교상(진드기에 물린) 부위
2023.10.7.까지 신고 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중 진드기에 물린 교상력이 있는 환자 41명 중 중복 건수를 포함한 49건 대상으로 이중, 다리·발 22건(44.9%), 얼굴·목 6건(12.2%) 순으로 많았음

1) 인천 학교 감염병 발생현황
- 2023년 9월 학교 감염병은 코로나19(4,324명), 인플루엔자(2,498명) 등 순으로 많이 발생했어요.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일본뇌염이 각각 1건씩 발생했어요.

학교 수(교)* | 학생 수(명) | 9월 발생 학생 수(명) | 학생 10만 명당 발생률(명)** |
---|---|---|---|
558 | 308,808 | 7,079 | 2292.36 |
* 2023. 9월 인천광역시교육청 학교기본현황 중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 발생률 = 나이스에 보고된 감염병(의심제외) 환자수 / 총 학생 수 × 100,000
2) 학교급별 감염병 발생현황(단위: 명, 명/10만명당)
구분 | 계 (n=308,808) |
초 (n=155,362) |
중 (n=78,143) |
고 (n=73,362) |
특수 (n=1,941) |
|
---|---|---|---|---|---|---|
계 | 발생수 | 7,079 | 3,260 | 2,549 | 1,266 | 4 |
발생률 | 2,292.36 | 2,098.33 | 3,261.97 | 1,725.69 | 206.08 | |
코로나19 | 발생수 | 4,324 | 1,128 | 2,033 | 1,159 | 4 |
발생률 | 1,400.22 | 726.05 | 2,601.64 | 1,579.84 | 206.08 | |
인플루엔자 | 발생수 | 2,498 | 1,889 | 508 | 101 | 0 |
발생률 | 808.92 | 1,215.87 | 650.09 | 137.67 | 0.00 | |
수족구병 | 발생수 | 154 | 151 | 2 | 1 | 0 |
발생률 | 49.87 | 97.19 | 2.56 | 1.36 | 0.00 | |
기타(비법정) | 발생수 | 27 | 27 | 0 | 0 | 0 |
발생률 | 8.74 | 17.38 | 0.00 | 0.00 | 0.00 | |
기타(법정) | 발생수 | 20 | 18 | 1 | 1 | 0 |
발생률 | 6.48 | 11.59 | 1.28 | 1.36 | 0.00 | |
수두 | 발생수 | 19 | 14 | 3 | 2 | 0 |
발생률 | 6.15 | 9.01 | 3.84 | 2.73 | 0.00 | |
유행성각결막염 | 발생수 | 19 | 16 | 1 | 2 | 0 |
발생률 | 6.15 | 10.30 | 1.28 | 2.73 | 0.00 | |
유행성이하선염 | 발생수 | 9 | 8 | 1 | 0 | 0 |
발생률 | 2.91 | 5.15 | 1.28 | 0.00 | 0.00 | |
급성호흡기감염증 | 발생수 | 4 | 4 | 0 | 0 | 0 |
발생률 | 1.30 | 2.57 | 0.00 | 0.00 | 0.00 | |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 발생수 | 3 | 3 | 0 | 0 | 0 |
발생률 | 0.97 | 1.93 | 0.00 | 0.00 | 0.00 | |
일본뇌염 | 발생수 | 1 | 1 | 0 | 0 | 0 |
발생률 | 0.32 | 0.64 | 0.0 | 0.0 | 0.0 |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발생수 | 1 | 1 | 0 | 0 | 0 |
발생률 | 0.32 | 0.64 | 0.0 | 0.0 | 0.0 |
3) 지역별 학교 감염병 발생현황(단위: 감염병 발생건수/총 감염병 발생건수×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