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

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전문가 칼럼
감염병 전문가로부터 듣는 의료 전문 지식
[25년 09월호] 아이들의 성조숙증, 불안보다 정확한 이해가 먼저입니다
아이들의 성조숙증, 불안보다 정확한 이해가 먼저입니다 타이틀 배경 이미지아이들의 성조숙증, 불안보다 정확한 이해가 먼저입니다 타이틀 배경 이미지
25년 09월
아이들의 성조숙증,
불안보다 정확한 이해가
먼저입니다
2025. 09. 19.
국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진료교수 최한샘

몇 년 전만 해도 성조숙증은 비교적 드물게 접하는 질환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병원 진료실에서 자주 다루는 문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아이가 또래보다 훨씬 빨리 큰 것 같아요”, “벌써 가슴이 발달하는데 괜찮은 건가요?”라는 질문은 소아청소년과 진료실에서 흔히 듣는 부모님들의 걱정입니다.

1. 성조숙증이란 무엇일까요?

성조숙증은 여아는 만 8세 이전,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빠르게 나타나는 것을 뜻합니다. 여아는 가슴에 몽우리가 잡히거나 초경을 하기도 하고, 남아는 고환이 커지고 음모가 나타나는 등 사춘기 신호가 일찍 찾아옵니다. 그리고 단순히 성장 발달이 빠른 것에 그치지 않고, 성장판이 빨리 닫혀 성인이 되었을 때 최종 키가 작아질 수 있으며 또래보다 빨리 몸이 변하면서 심리적 부담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도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조숙증은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개입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2. 왜 성조숙증이 늘어나고 있을까요?

최근 성조숙증이 늘어난 이유는 한 가지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비만과 식습관
체지방이 많으면 성호르몬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비만 아동에서 성조숙증이 더 흔히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패스트푸드, 당분이 많은 음료, 고칼로리 식습관은 비만을 유발하고 성호르몬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환경 요인
플라스틱, 가공식품 등에 들어 있는 환경호르몬이 영향을 준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모든 경우를 환경호르몬 탓으로 돌릴 수는 없습니다.

기질적 질환
드물지만 뇌종양, 뇌 기형, 난소·고환 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조숙증이 의심될 때는 반드시 전문의의 정확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3.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기질적 원인이 있는 경우, 해당 원인 질환을 우선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기질적 원인이 없는 특발성 성조숙증의 경우에는 사춘기 진행을 지연시키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성조숙증이라고 해서 모든 아이가 약물치료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아이들은 치료 없이도 진행 속도가 느려져 정상적인 성장 과정을 밟을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성장판이 빨리 닫힐 위험이 있거나 사춘기 진행이 빠른 경우에는 사춘기 억제 주사 치료를 합니다. 이 치료는 사춘기 진행을 늦추어 최종 키를 지켜주고, 아이가 또래와 비슷한 발달 속도를 갖도록 도와줍니다. 수십 년간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어 안전성도 입증되었습니다.

주사 치료는 4주 또는 3개월, 6개월 간격으로 주사를 맞게 되며, 치료 시기와 기간은 아이의 상태에 따라 다르며, 보통은 뼈 나이와 키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치료 중단 시기를 결정하며 자연스럽게 사춘기를 이어가도록 합니다. 중요한 것은 과잉검사나 불필요한 치료를 피하고,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한 뒤 결정하는 것입니다.

4. 부모님께 드리고 싶은 말씀

성조숙증을 걱정하는 부모님들께 꼭 드리고 싶은 당부가 있습니다.

· 인터넷 정보에 흔들리지 마세요.
체지방이 많으면 성호르몬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비만 아동에서 성조숙증이 더 흔히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패스트푸드, 당분이 많은 음료, 고칼로리 식습관은 비만을 유발하고 성호르몬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아이가 보내는 신호를 놓치지 마세요.
가슴 발달, 체취 변화, 급격한 키 성장 등은 중요한 단서입니다. 변화가 눈에 띈다면 전문의 상담을 권합니다.

· 생활습관을 함께 관리해 주세요.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해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이 중요합니다. 특히 가족이 함께 생활습관을 바꾸면 아이가 덜 힘들어합니다.

· 심리적인 지지를 잊지 말아 주세요.
몸의 변화를 또래보다 빨리 경험하는 아이는 불안하고 위축될 수 있습니다. “넌 잘 크고 있어”, “괜찮아”라는 부모님의 말 한마디가 아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성조숙증은 흔해지고 있지만, 모든 조기 발달이 반드시 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춘기에 동반하는 신체적 발달을 막연히 두려워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불안에 휩싸이기보다 정확한 진단과 생활습관 관리, 그리고 부모의 따뜻한 지지이며 필요한 경우 치료하면 아이는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