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

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전문가 칼럼
감염병 전문가로부터 듣는 의료 전문 지식
[25년 03월호] 매일 졸아요, 청소년의 수면과 기면병
매일 졸아요, 청소년의 수면과 기면병 타이틀 배경 이미지매일 졸아요, 청소년의 수면과 기면병 타이틀 배경 이미지
25년 03월
매일 졸아요,
청소년의 수면과 기면병
2025. 03. 24.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국제성모병원 신경과(수면의학연구소) 신경과장(수면의학연구소장) 김혜윤
"수업시간에 매일 졸아요.“
"소리 높여 불러도 일어나지 못하고, 다른 친구들보다 훨씬 힘들어하네요."

이러한 선생님의 말을 들으면 많은 부모님들은 아이가 공부에 흥미가 없거나 게으르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반면 청소년들은 학원과 수행평가, 시험 준비로 인한 과중한 부담과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사용으로 수면이 부족하다고 변명 아닌 변명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단순한 생활 습관의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피로감은 학업 성취와 일상생활의 질을 크게 좌우하며, 단순히 스마트폰 중독이나 게임 과다 사용으로 치부하기에는 청소년 수면 문제가 점점 심각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새 학기를 앞둔 이 시점에서 지속적인 과도한 졸음을 보이는 청소년들에게 기면병의 가능성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면병은 뇌의 각성 체계를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오렉신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신경계 질환입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나 자가면역 반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증상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심한 주간 졸음입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증상이 단순한 피로나 수면 부족과는 다른 의학적 상태라는 것이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면병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임상적 특징을 통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청소년이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졸음이 지속되거나, 감정이 격해질 때(특히 웃음이나 기쁨과 같은 긍정적 감정 상태에서) 갑자기 근력이 저하되는 증상 (예를 들어, 턱이 빠지는 듯한 또는 무릎이 꺾이는 느낌)이 나타난다면 기면병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방치될 경우 학업 성취도 저하뿐만 아니라 사회적 고립, 우울증과 같은 이차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청소년 수면장애와 기면병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입니다. 부모와 교사는 청소년의 수면 패턴과 주간 각성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특히 학교 수업 중 반복적으로 졸거나 갑작스러운 근력 저하를 보이는 경우, 수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면병으로 진단받은 청소년의 경우,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규칙적인 수면-각성 주기를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된 낮잠을 활용하며,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이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관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청소년기의 수면장애와 기면병은 학업 성취와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 문제입니다. 활기찬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이러한 증상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의학적 개입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모든 교육자와 부모, 의료인의 공동 과제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