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감염병 동향
월간 감염병 동향 정보를 안내해 드립니다.
[25년 03월호] 25년 2월 감염병 동향


25년 03월
25년 2월 감염병 동향
2025. 03. 24.
1. 인천광역시교육청 학교급별 감염병 발생 현황
출처NEIS 기준2025. 2. 1. ~ 2. 28.

2. 주요 감염병 발생 현황
출처질병관리청 집계기간2025. 2. 1. ~ 2. 28.
1) 연령대별 주요 법정감염병 발생 현황
- 2025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전국 감염병 발생 현황을 보면 총 7,198명(인구 10만명당 13.9명)으로 2025년 1월 8,603명(인구 10만명당 16.6명) 보다 감소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18세 이하에서 36.9명(/10만명)으로, 19세 이상 10.1명(/10만명)에 비해 발생률이 높았다. 18세 이하 연령그룹을 나누어 보면 4-6세(유치원생)에서 58.9명(/10만명)으로 감염병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7-12세(초등학생)에서 50.0명(/10만명), 13-15세(중학생)가 28.2명(/10만명), 0-3세에서 27.7명(/10만명), 16-18세(고등학생)에서 11.9명(/10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 18세 이하 주요 감염병 발생분포는 수두(50%), 백일해(23%), 성홍열(18%), 유행성이하선염(8%), 기타(1.8%)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감염병은 그래프 참조)
(단위: 명, 명/인구 10만명당)
구분 | 0~18세 | 19세 이상 | 계 | ||||||
---|---|---|---|---|---|---|---|---|---|
0~3세 | 4~6세 | 7~12세 | 13~15세 | 16~18세 | 소계 | ||||
수두 | 발생수 | 146 | 175 | 654 | 259 | 107 | 1,341 | 228 | 1,569 |
발생률 | 14.5 | 18.3 | 25.1 | 19.0 | 7.8 | 18.4 | 0.5 | 3.0 | |
유행성이하선염 | 발생수 | 19 | 85 | 95 | 17 | 4 | 220 | 52 | 272 |
발생률 | 1.9 | 8.9 | 3.6 | 1.2 | 0.3 | 3.0 | 0.1 | 0.5 | |
백일해 | 발생수 | 47 | 40 | 381 | 97 | 48 | 613 | 284 | 897 |
발생률 | 4.7 | 4.2 | 14.6 | 7.1 | 3.5 | 8.4 | 0.6 | 1.7 | |
성홍열 | 발생수 | 40 | 263 | 164 | 5 | 0 | 472 | 22 | 494 |
발생률 | 4.0 | 27.4 | 6.3 | 0.4 | 0.0 | 6.5 | 0.0 | 1.0 | |
기타* | 발생수 | 26 | 2 | 10 | 6 | 4 | 48 | 3,918 | 3,966 |
발생률 | 2.6 | 0.2 | 0.4 | 0.4 | 0.3 | 0.7 | 8.8 | 7.7 | |
계 | 발생수 | 278 | 565 | 1,304 | 384 | 163 | 2,694 | 4,504 | 7,198 |
발생률 | 27.7 | 58.9 | 50.0 | 28.2 | 11.9 | 36.9 | 10.1 | 13.9 |

기타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CRE) 감염증,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E형간염, 홍역, 세균성이질, 파라티푸스, 폐렴구균감염증, C형간염, 매독, 뎅기열
(출처: 질병관리청 (코로나19, 결핵 제외), 집계기간: 2025. 2. 1. ~ 2. 28.)
2) 연령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 현황 (출처: 질병관리청, 단위: 명)
- 2025년 9주차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은 9.1명(/1,000명)으로 1월 첫째 주 정점(1주 99.8명) 이후 감소세 지속. 7-12세와 13-18세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음
-
최근 5주간 연령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은 작년(2023-2024절기) 동기간보다 다소 감소
* 과거 동기간: (’19년) 8.3명, (’20년) 6.3명, (’21년) 1.2명, (’22년) 3.9명, (’23년) 11.9명, (’24년) 14.8명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천분율)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수/총 진료환자 수 x 1,000명
** 2024-2025절기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8.6명(/외래환자 1,000명당)
구분 | 2023-2024절기 | 2024-2025절기 | ||||||||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
전체 | 27.2 | 27.3 | 24.3 | 17.9 | 14.8 | 30.4 | 13.9 | 11.6 | 9.5 | 9.1 |
0세 | 11.4 | 12.8 | 11.2 | 10.4 | 10.1 | 19.7 | 11.4 | 8.2 | 6.1 | 8 |
1-6세 | 25.3 | 28.3 | 23.6 | 20 | 14.7 | 36.8 | 19.6 | 17.9 | 11.8 | 10.5 |
7-12세 | 56.1 | 51.6 | 39.5 | 30.2 | 20.3 | 50.0 | 27.5 | 24.3 | 16.4 | 17.5 |
13-18세 | 41.7 | 39.6 | 30.7 | 22.1 | 19.1 | 39.9 | 22.2 | 24.2 | 22.4 | 17.3 |
19-49세 | 41.9 | 40.4 | 35.6 | 25.7 | 21.4 | 36.5 | 18.0 | 14.0 | 12.8 | 12.7 |
50-64세 | 18.6 | 17.7 | 17.6 | 13.0 | 12.2 | 21.1 | 9.6 | 6.7 | 6.3 | 5.9 |
65세 이상 | 11.6 | 11.5 | 13.6 | 9.4 | 8.6 | 13.5 | 5.3 | 3.9 | 3.0 | 2.7 |

연령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1,000명당)
3. 인천광역시교육청 감염병 발생 현황
출처NEIS 기준2025. 2. 1. ~ 2. 28.
1) 2월 감염병 발생현황
- 2025년 2월 학교 감염병은 인플루엔자(22명), 백일해(1명) 등 순으로 많이 발생했어요.
- 2월(26명)에는 1월(3,602명)보다 교내 감염병 발생이 크게 감소했어요.
- 그 밖에 수두(1명), 유행성이하선염(1명), 유행성각결막염(1명)도 발생했어요.

학교 수(교)* | 학생 수(명) | 2월 발생 학생 수(명) | 1월 발생 학생 수(명) | 학생 10만 명당 발생률(명)** |
---|---|---|---|---|
549 | 308,165 | 26 | 3,602 | 8.4 |
* 2024. 5월 인천광역시교육청 학교기본현황 중 초등학교(분교포함),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 발생률 = 나이스에 보고된 감염병(의심제외) 환자수 / 총 학생 수 × 100,000
2) 학교급별 감염병 발생현황(단위: 명/인구 10만명당)
- 각 급 학생 인구 10만명을 기준으로 인플루엔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어요. 특수학교에서 50.4명/10만명당(1명), 고등학교에서 7.9명/10만명당(6명), 초등학교에서 6.6명/10만명당(10명), 중학교에서 6.3명/10만명당(5명) 순으로 특수학교에서 인플루엔자 발생률이 가장 높았어요.

구분 | 계 (n=308,165) |
초 (n=150,735) |
중 (n=79,905) |
고 (n=75,542) |
특수 (n=1,983) |
|
---|---|---|---|---|---|---|
계 | 발생수 | 26 | 11 | 5 | 9 | 1 |
발생률 | 8.4 | 7.3 | 6.3 | 11.9 | 50.4 | |
인플루엔자 | 발생수 | 22 | 10 | 5 | 6 | 1 |
발생률 | 7.1 | 6.6 | 6.3 | 7.9 | 50.4 | |
백일해 | 발생수 | 1 | 0 | 0 | 1 | 0 |
발생률 | 0.3 | 0.0 | 0.0 | 1.3 | 0.0 | |
수두 | 발생수 | 1 | 0 | 0 | 1 | 0 |
발생률 | 0.3 | 0.0 | 0.0 | 1.3 | 0.0 | |
유행성각결막염 | 발생수 | 1 | 1 | 0 | 0 | 0 |
발생률 | 0.3 | 0.7 | 0.0 | 0.0 | 0.0 | |
유행성이하선염 | 발생수 | 1 | 0 | 0 | 1 | 0 |
발생률 | 0.3 | 0.0 | 0.0 | 1.3 | 0.0 |
3) 지역별 학교 감염병 발생현황(단위: 감염병 발생건수/총 감염병 발생건수×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