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

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생생 교육현장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감염병 관련 사업을 알려드립니다.
[25년 01월호]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강사 양성과정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강사 양성과정 타이틀 배경 이미지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강사 양성과정 타이틀 배경 이미지
25년 01월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강사 양성과정
2025. 01. 17.
1. 심폐소생술 강사 양성과정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심폐소생술 강사 양성 과정은 대한적십자사 인천지사 위탁 직무연수 과정으로,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 학교 구성원의 건강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진행되는 사업입니다. 보건교사와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며, 지난 2022년에는 45명의 강사를 배출하였고, 23년도 30명, 24년도에는 29명의 선생님께서 교육을 이수하였습니다.

2. 강사 양성 과정은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나요?

응급처치 일반과정과 응급처치 강사과정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응급처치 일반과정은 총 8시간 과정으로 전반적인 응급처치 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듣게 됩니다. 그리고 응급처치 강사과정은 평가시간 포함 56시간을 듣게 되며 응급처치 방법에서 더 나아가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에 조금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응급처치 강사과정을 선택하게 된다면

①응급처치의 필요성과 응급상황 시 행동 요령,
②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AED), 이물질에 의한 기도 폐쇄,
③상황별 응급처치(상처 및 골절 처치, 손상, 갑작스러운 질병 등),
④응급의료 활동 및 강사 지도 지침, 강습 교안 작성법 등

응급처치의 전반적인 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모든 교육과정을 듣게 되면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이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응급처치에 관한 내용이 나오게 되며 실기시험은 그동안 배웠던 처치 방법 중 무작위로 선별하여 교육생들이 있는 것을 가정하고 수업 실연을 하며 평가를 받게 됩니다.

4. 교육 후 활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응급처치 강사과정을 수료하게 된다면, 대한적십자사에서 요구하는 추가 교육을 이수하고 난 뒤 대한적십자사 소속 응급처치 강사로 활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보건교사의 경우 교직원 심폐소생술과 같은 법정 교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체육 교사는 위촉 과정을 진행 후 비법정 교육(심폐소생술, 응급처치 일반과정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또한 교육청 주관 대규모 행사 시 응급의료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으며 작년 10월에 진행된 인천 과학대제전에도 응급요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