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나침반

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건강한 인천교육
생생 교육현장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감염병 관련 사업을 알려드립니다.
[25년 05월호] 청소년 수면 건강 증진 선포식 및 전문교육 현장을 찾아가다.
청소년 수면 건강 증진 선포식 및 전문교육 현장을 찾아가다. 타이틀 배경 이미지청소년 수면 건강 증진 선포식 및 전문교육 현장을 찾아가다. 타이틀 배경 이미지
25년 05월
청소년 수면 건강 증진 선포식 및
전문교육 현장을 찾아가다.
2025. 05. 16.
1. 청소년 수면 건강 증진 사업은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사업인데, 청소년 수면 건강에 주목하시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3월 14일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기면증을 가진 청소년들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사회 인식을 개선하고 건강증진을 향상하고자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 직전 금요일, 매년 3월 셋째주 금요일)

2. 수면부족으로 꾸벅꾸벅 조는 학생들을 흔히 볼 수 있는데, 기면증은 다른건가요?

기면증은 낮시간의 과도한 졸림을 일으키는 중추성 질환으로 우리 머리에 있는 시상하부라고 하는 부분에서 정상적인 각성을 유지시켜주는 물질인 “hypocretin (히포크레틴)”이 분비가 결여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밤에 충분히 잠을 잤더라도, 낮에 갑자기 졸음이 몰려와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마치 전기 스위치를 내리는 것처럼 갑자기 잠이 드는 수면발작을 보이기도 합니다.

3. 청소년기에 기면증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기면증은 흔히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년기에 발병하며 대부분 30세 이전에 발병한다고 합니다. 청소년기에 기면증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 뇌의 수면 조절 장애가 발생하여 학습 능력, 직업적 성장, 일상생활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낮 시간의 졸음은 게으른 사람, 무능한 사람으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가족, 친구, 동료, 주변 사람들이 이 질환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4. 기면증 등 청소년의 수면 건강증진을 위해 어떤 사업을 진행하고 계신가요?

지난 3월 24일 우리교육청은 「인천 청소년 수면 건강 증진 선포식 및 전문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도성훈 교육감을 비롯하여 인천시 보건교사와 학부모, 시민건강지원단이 참석한 가운데 ‘건강한 수면, 행복한 학교생활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국제성모병원 마리아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청소년 수면건강에 대한 인식 개선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선포식, 릴레이 캠페인을 운영하였으며, ’청소년 수면 장애의 이해‘라는 주제로 수면 전문가 김혜윤 교수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5. 선포식에 참석한 사람들의 반응은 어떠한가요?

만족도 조사결과 참여자들은 연수 목적, 운영 전반, 전문적 건강관리 역량 향상 및 강사의 내용전달에 대해 97%의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연수에 참여한 한 보건교사는 ’수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관련된 연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고 하면서 ’이번 연수가 학교 현장에 많은 되움이 되었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6. 청소년 수면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한 교육청의 소감이 궁금합니다.

청소년기 수면건강에 대한 인식 개선과 청소년기 수면 장애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첫발걸음을 뗐다고 생각합니다. 수면 전문가와 인천 보건교사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기면증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을 조기 발견하고 치유 지원까지 연결할 수 있는 건강 안전망 구축을 위해 교육청과 지역사회 의료인이 힘을 모으겠습니다.

수면 건강 증진 선포식
청소년 수면 건강의 이해 전문교육